남과북의 읽어버린 언어

[스크랩] 南과 北의 잃어버린 언어

팔마산 2010. 9. 14. 21:03

南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1. 아이스크림 --- 얼음보숭이
2. 도시락 --- 곽밥
3. 쥬스 --- 과일단물
4. 운동화 ---  천신
5. 화장실 --- 위생실
6. 노크 --- 손기척
7. 보조개 --- 오목샘
8. 김매기 --- 풀잡이
9. 오두막 --- 마가리
10.뮤지컬 --- 가무이야기
 
11. 뒷걸음질 --- 물레걸음
12. 간섭 --- 간참
13. 거짓말 --- 꽝포
14. 꽃다발 --- 꽃묶음
15. 장모 --- 가시어머니
16. 날씨 --- 날거리
17. 계란말이 --- 색쌈
18. 소시지 --- 칼파스
19. 볼펜 --- 원주필
20. 방청소 --- 방거두매
 
21. 미소 --- 볼웃음
22. 드레스 --- 나리옷
23. 단발머리 --- 중발머리
24. 들창코 --- 발딱코
25. 우울증 --- 슬픔증
26. 오전 --- 낮전
27. 위기 --- 고스락
28. 운행표 --- 다님표
29. 눈썰미 --- 눈정신
30. 합병증 --- 따라난병
 
31.도넛 --- 가락지빵
32.주차장 --- 차마당
33.라면 --- 꼬부랑국수
34.개고기 --- 단고기
35.만화영화 --- 그림영화
36.야간경기 --- 등불게임
37.꿈나라 --- 잠나라
38.기성복 --- 지은옷
39.꼭지점 --- 꼭두점
40.꾀병 --- 건성

41.기록영화 --- 시보영화
42.김매기 --- 풀잡이
43.꽃다발 --- 꽃묶음   
44.교대 --- 대거리
45.과거 --- 어제날
46.관광버스 --- 유람뻐스
47.공염불말 --- 공부
48.공휴일 - --휴식일
49.골키퍼 --- 문지기
50.공무원 - --정무원

51.고함지르다 --- 고아대다.
52.곧바로(즉시) --- 대미쳐
53.계모 --- 후어머니
54.교대 --- 대거리
55.과거 --- 어제날
 
가르치다 --- 배워주다
고함치다 --- 고아대다
궁금하다 --- 궁겁다
기가 막히다 --- 억이 막히다
괜찮다 --- 일 없다
근지럽다 --- 그니럽다
가깝다 --- 가찹다
곧,금방 --- 인차
기필코 --- 불필코
눈총을 주다 --- 눈딱총을 주다
나이가 어리다 - --나어리다
높임말을 쓰다 --- 옙하다
냉대하다 --- 미우다
노려보다 --- 지르보다
덜렁거리다 --- 건숭맞다
도와주다 --- 방조하다
드문드문 --- 도간도간
도착하다 --- 가닿다
떠맡기다 --- 밀맡기다
마련하다 --- 내오다
모질고 사납다 --- 그악하다
자리없음 --- 만원
되는대로 --- 마구 망탕
모락모락 --- 몰몰
매우 가깝다 --- 살밭다
미끄러지다 --- 미츠러지다
큰 걱정 --- 된 걱정
북적북적 --- 욱닥욱닥
배웅하다 --- 냄내다
부서지다 --- 마사지다
바쁘다 --- 어렵다
빈정거리는 --- 투비양청
보태주다 --- 덧주다
살금살금 --- 발면발면
시원시원하다 --- 우선우선하다
싸돌아다니다 --- 바라다니다
알쏭달쏭하다 --- 새리새리하다
서명하다 --- 수표하다
오손도손 --- 도순도순
유일무이하다 --- 단벌하다
지난 번 --- 간번
주저않다 --- 퍼더앉다
창피하다 --- 열스럽다
우람하게 --- 거연히
틀림없이 --- 거의 없이
터무니없다   ---  탁없다
기름지다 --- 노랑지다 
푹 수그리다 --- 직수리다
혈안이 되다 --- 피눈이 되다
전근하다 --- 조동하다
횡재하다 --- 호박을 잡다
효과를 얻다 --- 은을 내다
피나는 노력 --- 피타는 노력
색다르다 맛 --- 다르다
자기 스스로 --- 자기절로
저마다 --- 저마끔 
정신을 잃다 --- 얼이 치다
토라지다 --- 시뚝하다
얼떨결에 --- 어망결에
의젓하다 --- 의사스럽다 
가게 --- 가가
가끔 --- 가담 가담
가난에 찌든 삶 --- 애옥살이
가는 귀가 먹다 --- 잔귀가 먹다
가두리 양식 --- 우리식 양어
가랑비 --- 안개비
가로수 --- 거리나무
가르치다 --- 배워주다
가발 --- 덧머리
가사(집안 살림 살이)---집안 거두매
가속페달(액셀러레이터)---가속답판
가연성 --- 불탈성
가위바위보 --- 가위주먹
가정주부 --- 가두녀성, 가정부녀
가족 수당 --- 가족금
각선미 --- 다리매
간섭 --- 간참
간통 --- 부화
개간지 --- 일군땅
개 고기 --- 단 고기
개기 일식 --- 옹근 일식
거슬름돈 --- 각전
거위 --- 게사니
건달 --- 날총각
건널목 --- 건늠길
건망증 --- 잊음증
검문소 --- 차단소
검산 --- 뒤셈
겉치마 --- 웃치마
겨우살이 --- 겨울나이
견인차 --- 끌차
결과  --- 후과
경사도 --- 빈탈도
계단 --- 디대
계단논 --- 다락논
계집아이 --- 에미 나이
고가철도 --- 가공철도
고급담배 --- 특급담배
고급 숙박 시설 --- 초대소
도넛 --- 가락지빵
라면 --- 꼬부랑국수
볼펜 --- 원주필
초등학교 --- 인민학교
음료수 --- 과일단물
계란 --- 닭알  
겨울 --- 동살  
전등 --- 불알
 
그 3 번째
 
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南
 
배워주다---가르치다
고아대다---고함치다
궁겁다---궁금하다
억이막히다---기가 막히다
일없다---괜찮다
그니럽다---가찹다
가찹다---가깝다
인차---곧, 금방
불필코---기필코
눈딱총을 주다---눈총을 주다
나어리다---나이가 어리다
옙하다---높임말을 쓰다
미우다---냉대하다
지르보다---노려보다
건숭맞다---덜렁거리다
방조하다---도와주다
도간도간---드문드문
가닿다---도착하다
밀맡기다-떠맡기다
내오다-마련하다
그악하다---모질고 사납다
만원---자리없음
마구망탕---되는 대로
몰몰---모락모락
살밭다---매우가깝다.
미츠러지다---미끄러지다
된 걱정---큰 걱정
욱닥욱닥---북적북적
냄내다---배웅하다
마사지다---부서지다
어렵다---바쁘다
투비양청---빈정거리는
덧주다---보태주다
발면발면---살금살금
우선우선하다---시원시원하다
바라다니다---싸돌아다니다
새리새리하다---알쏭달쏭하다
수표하다---서명하다
도순도순---오순도순
단벌하다---유일무이하다
간번---지난번
퍼더앉다---주저앉다
열스럽다---창피하다
거연히---우람차게
거의없이---틀림없이
탁없다 ---터무니 없다
노랑지다---기름지다
직수리다---푹 수그리다
피눈이 되다 ---혈안이 되다
조동하다 ---전근하다
호박을 잡다 ---횡재하다
은을 내다 ---효과를 얻다
피타는 노력 ---피나는 노력
다르다 ---색다른맛
자기절러 ---자기스스로
저마끔 ---저마다
얼이치다 ---정신을 잃다
시뚝하다 ---토라지다
어망결에 ---어떨결에
의사스럽다 ---의젓하다
가가 ---가게
가담가담 ---가끔
애옥살이 ---가난에 찌는 삶
잔귀가 먹다 ---가는 귀가 먹다
우리식 양어 ---가두리 양식
안개비 ---가랑비
거리나무 --- 가로수
덧머리 ---가발
가위주먹 ---가위바위보
가두녀성 ---가정주부
가족금 ---가족수당
다리매 ---각선미
간참 ---간섭
부화 ---간통
일꾼땅 ---개간지
단고기 ---개고기
옹근일식 ---개기일심
각전 ---거스름돈
개사니 ---거위
날총각 ---건달
건늠길 ---건널목
잊음증 ---건망증
차단소 ---검문소
뒤셈 ---검삼
웃치마 ---겉치마
겨울나이 ---겨우살이
끌차 ---견인차
후과 ---결과
빈탈도 ---경사도
디대 ---계단
몸깐다--- 살빼다
문지기 ---골기퍼
과일단즙 ---쥬스
통과암호 ---패스워드
알림판 ---계시판
나들문--- 출입문
직승비행기 ---헬리콥터
손가락말 ---수화
차마당 - --주차장
단묵 ---젤리
휴식일 ---공휴일
위생실 ---화장실
댕기 ---리본
단얼음 ---빙수
필갑 ---필통
문방구 ---학용품
원주필 ---볼펜
식의주 ---의식주
둥글파 ---양파
아침모임 ---조회
마가리 ---오두막
설기과자 ---카스테라
기름밥 ---볶음밥
글토막 ---문장
창발성 ---창의성
샘물터 ---약수터
상급생 ---선배
소라판 ---레코트
가루젓 ---분유
고예 ---곡예
땅속물 ---지하수
코신 ---고무신
털빠짐증 ---탈모증
에미나이 ---여자아이
가마치 ---누룽지
기다림 칸 ---대기실
색떼레비 ---컬러텔레비전
고모사촌 ---고종사촌
냉동동기 ---냉장고
볶음머리---파마머리
 


    
    




    출처 : 푸 른 하 늘
    글쓴이 : 푸른하늘 원글보기
    메모 :

    '남과북의 읽어버린 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애환  (0) 2011.01.24
    [스크랩] 중국인이 본~북한의 실상  (0) 2011.01.17